티스토리 뷰
목차
부동산 거래 특히 토지 거래를 할 때 지적도 열람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한 토지를 측량하기 전 인터넷 지적도 열람을 통해 본인 땅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해볼 수 있기 때문에 국토부 지적도 무료 열람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국토부 지적도 무료열람 방법
인터넷 지적도 열람을 통해 지적도 무료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지적도 떼는 방법을 알아두시면 추후 부동산 거래를 할 때 언제든지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도를 열람할 때 네이버 지적도 이용을 많이 하는데 네이버 지적 편집도 같은 경우엔 전체적으로 지적도를 표시해주는 것이고 세부적인 지적도를 열람하시기 위해선 부동산 지적도 열람을 통해 지적도 다운로드를 해주셔야만 합니다.
1. 정부24 홈페이지 접속하기
국토부 지적도 열람을 위해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셔야 합니다.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의 서비스, 민원, 정책·정보를 통합·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
www.gov.kr
2. 지적도 보기
정부24 홈페이지 검색창에 지적도라고 적으신 후 검색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3. 지적도 등본교부 발급하기
지적도 등본교부 우측에 발급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4. 비회원 신청하기
비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해주세요.
5. 비회원 신청 정보 입력하기
비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하였기 때문에 약관 동의 체크 및 비회원 신청 정보 입력을 해주셔야 합니다. 동의합니다 버튼 2개를 클릭하신 후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작성해주세요. 그리고 입력 확인란에 보이는 숫자 6자리를 아래 빈칸에 똑같이 입력하시고 확인을 클릭해주세요.
6. 지적도 및 임야도 선택하기
지적도와 임야도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지적도를 열람하고 싶으신 분은 지적도 등본교부를, 임야도를 열람하고 싶으신 분은 임야도 등본교부를 클릭해주세요.
7. 주소 검색 및 축척 선택하기
지적도를 열람하고 싶은 주소를 주소 검색을 클릭해서 검색해주시고, 축척 조회를 클릭하여 축척을 선택해주셔야 합니다. 모두 완료하였다면 민원 신청하기를 클릭해주세요.
* 본 이미지에 보이는 주소는 임의의 주소로 작성자와 관계없는 주소입니다.
주소 검색을 클릭하면 읍, 면, 동으로 지번주소를 검색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원하는 주소의 처리기관까지 선택해주세요. 혹시라도 한 지번의 도면이 여러장인 경우 직접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축척 조회를 클릭하시면 축척을 1/1200, 1/1700, 1/2200, 1/2700, 1/3200으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만약 조회된 축척 외에 다른 축척으로 지적도를 발급받고자 하는 경우 직접 주민센터에 방문하여야만 합니다.
8. 문서 출력하기
민원 신청하기까지 완료했다면 서비스 신청내역에 지적도 등본교부가 보일 것입니다. 문서 출력을 클릭해주세요.
9. 인쇄하기
지적도를 확인하신 후 인쇄를 클릭해주세요. 미리보기를 확인하신 후 인쇄 버튼을 한 번 더 클릭해주시면 토지대장 지적도 열람이 완료됩니다.
지적도 및 임야도 열람을 통해 거래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지적도를 정확히 확인하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부동산 거래 시 특히 토지 거래 시 국토부 인터넷 지적도 열람은 필수입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세완납증명서 발급 방법 (0) | 2022.09.03 |
---|---|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발급 방법 (0) | 2022.09.02 |
코로나19 격리해제 사실확인서 발급 방법 (0) | 2022.08.30 |
코로나19 격리통지서 발급 방법 (0) | 2022.08.29 |
토지대장 무료열람 방법 (0) | 2022.08.27 |